코딩/Python
set 자료형(교집합, 합집합, 차집합)
junhub
2023. 3. 3. 23:32
student_a = ['물리2','국어','수학1','음악','화학1','화학2','체육']
student_b = ['물리1','수학1','미술','화학2','체육']
a_set = set(student_a)
b_set = set(student_b)
print(a_set & b_set)
print(a_set | b_set)
print(a_set - b_set)
print(a_set ^ b_set)
student_a 의 list 와 student_b 의 list를 각 set(student_a), set(student_b)로 집합을 만들어 변수로 설정했을 때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교집합, 합집합, 차집합, 대칭 차집합의 코드이다.
print(set1.intersection(set2))
print(set1.union(set2))
print(set1.difference(set2))
print(set1 ^ set2)
순서대로 위와 같은 코드로도 쓰인다.
어려웠던 부분
set( ) 을 통하여 집합을 묶어준다는 개념 익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