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React

리액트 입문(React Component)

junhub 2023. 4. 14. 13:42

React Component란

컴포넌트를 통해 UI를 재사용이 가능한 개별적인 여러 조각으로 나누고, 각 조각을 개별적으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개념적으로 컴포넌트는 JavaScript 함수와 유사합니다. “props”라고 하는 임의의 입력을 받은 후, 화면에 어떻게 표시되는지를 기술하는 React 엘리먼트를 반환합니다.

 

 

# 리액트 컴포넌트를 표현하는 두가지 방식

첫째로 함수형 컴포넌트가 있고, 두번째로 클래스형 컴포넌트가 있다. 두 가지 모두 기능상으로는 동일하지만,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함수형 컴포넌트를 사용하기를 권장하고 있다. 

 

 

Component 보는 방법

컴포넌트(함수) 코드를 볼 때는 영역을 나누어서 보면 조금 더 편하다. 컴포넌트 밖에서는 내가 필요한 파일을 import 하거나, 또는 export default 라는 기능을 통해 내가 만든 컴포넌트를 밖으로 내보내는 코드가 있다.

컴포넌트 안에서는 자바스크립트를 쓸 수 있는 부분이 있다. 여러분이 컴포넌트 안에서 어떤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작성하고 싶다면 여기에다가 작성한다.

그리고 return 을 기준으로 아랫부분에서는 HTML(정확히 말하면 JSX)을 작성할 수 있다. 여기에 작성한 html 코드와 값들이 화면에 보여진다.

 

 

  • 컴포넌트를 만들 때 반드시 가장 첫 글자는 대문자로 만들어야 한다.
  • 폴더는 소문자로 시작하는 카멜케이스로 작성하고, 컴포넌트를 만드는 파일은 대문자로 시작하는 카멜케이스로 이름을 짓는다.

 

 

# 부모-자식 컴포넌트

 

컴포넌트는 다른 컴포넌트를 품을 수 있다. 이때 다른 컴포넌트를 품는 컴포넌트를 부모 컴포넌트라고 부르고, 다른 컴포넌트 안에서 품어지는 컴포넌트를 자식 컴포넌트라고 부른다. 

// src/App.js
import React from "react";

function Child() {
  return <div>나는 자식입니다.</div>;
}

function App() {
  return <Child />;
}

export default A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