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string
scores = [ {'name':'영수','score':70}, {'name':'영희','score':65}, {'name':'기찬','score':75}, {'name':'희수','score':23}, {'name':'서경','score':99}, {'name':'미주','score':100}, {'name':'병태','score':32} ] for s in scores: name = s['name'] score = s['score'] print(f'{name}의 점수는 {score}점 입니다.') f-string을 사용하면 print(name + '의 점수는' +score+'점 입니다') 로 출력하는 대신 맨 앞에 f 를 붙이고 변수에 중괄호를 씌워서 print(f'{name}의 점수는 {score..
2023. 3. 4.
set 자료형(교집합, 합집합, 차집합)
student_a = ['물리2','국어','수학1','음악','화학1','화학2','체육'] student_b = ['물리1','수학1','미술','화학2','체육'] a_set = set(student_a) b_set = set(student_b) print(a_set & b_set) print(a_set | b_set) print(a_set - b_set) print(a_set ^ b_set) student_a 의 list 와 student_b 의 list를 각 set(student_a), set(student_b)로 집합을 만들어 변수로 설정했을 때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교집합, 합집합, 차집합, 대칭 차집합의 코드이다. print(set1.intersection(set2)) print(set1.u..
2023.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