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rd/TIL13 TIL 2023.03.10(온보딩 5일차) 객체 (object) 객체(object)란 실재로 존재하는 사물을 의미하고 이름과 값으로 구성된 속성을 가진 데이터 타입이다. > typeof ( [ ] ) "object" 위와 같이 배열(array)도 객체라고 할 수 있다. const object = { name : '구름', age : 6 } console.log(object.name) console.log(object.age) 배열은 요소에 접근할 때 인덱스를 사용하지만, 객체는 key를 사용한다. 객체는 중괄호 {...} 로 생성하며, 다음과 같은 형태의 자료를 쉼표로 연결해서 입력한다. 키 : 값 const object = { name : '구름', age : 6 } object.name = '별' object.age = 4 console.lo.. 2023. 3. 11. TIL 2023.03.08(온보딩 4일차) 함수 function ( ) { } 함수는 코드의 집합을 나타내는 자료형이며, 기본 형태는 위와 같다. 함수의 장점은 한번만 정의해놓고 필요할 때마다 호출하므로 반복 작업을 피할 수 있고 기능별(함수별)로 수정이 가능하므로 유지보수가 쉽다. let a = function(){ console.log('첫번째 함수입니다') console.log('두번째 함수입니다') console.log('세번째 함수입니다') } console.log(typeof a) console.log(a()) > function 첫번째 함수입니다 두번째 함수입니다 세번째 함수입니다 변수 a 에 함수를 할당했으므로 a( ) 로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 위 함수는 익명 함수이다. 매개변수와 리턴값 함수를 호출할 때 괄호 안에 적는 것을.. 2023. 3. 10. TIL 2023.03.08(온보딩 3일차) 배열 (array) 배열은 여러 자료를 묶어서 활용할 수 있는 특수한 자료이다. > const str = '안녕하세요' > str[2] 하 > str[str.length - 1] 요 배열은 대괄호를 사용하고 내부의 값을 요소(element)라고 한다. 이때 요소의 순서를 인덱스(index)라고 한다. 배열[배열.length - 1] 은 배열의 마지막 요소를 출력한다. 배열.length 배열 내부에 들어있는 요소의 개수를 확인할 때에는 length 속성을 사용한다. 배열.push(요소) 베열 뒷부분에 요소를 추가할 때는 push() 메소드를 사용한다. const fruits = ['사과','귤','배'] fruits[10] = '오렌지' console.log(fruits) > [ '사과', '귤', '배'.. 2023. 3. 8. TIL 2023.03.07(온보딩 2일차) if 조건문 if( 불 값이 나오는 표현식){ 불 값이 참일 때 실행할 문장 } const a = Number(prompt('월을 입력해주세요.','')) if(1 = a){ alert('봄입니다') } if(4 = a){ alert('여름입니다') } if(7 = a){ alert('가을입니다') } if(10 = a){ alert('겨울입니다') } 위 코드는 월을 입력하여 몇월인지 alert 창으로 알려주는 코드이다. 1. 상수 a에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Number() 함수를 이용해 숫자 자료형으로 할당한다. 2. if 조건문과 연산자를 활용해 조건을 만들어주고 참일 경우 return 되는 alert 창을 만들어준다. switch 조건문 switch(자료){ case 조건 A : break ca.. 2023. 3. 7.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