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85

TIL 2023.03.08(온보딩 3일차) 배열 (array) 배열은 여러 자료를 묶어서 활용할 수 있는 특수한 자료이다. > const str = '안녕하세요' > str[2] 하 > str[str.length - 1] 요 배열은 대괄호를 사용하고 내부의 값을 요소(element)라고 한다. 이때 요소의 순서를 인덱스(index)라고 한다. 배열[배열.length - 1] 은 배열의 마지막 요소를 출력한다. 배열.length 배열 내부에 들어있는 요소의 개수를 확인할 때에는 length 속성을 사용한다. 배열.push(요소) 베열 뒷부분에 요소를 추가할 때는 push() 메소드를 사용한다. const fruits = ['사과','귤','배'] fruits[10] = '오렌지' console.log(fruits) > [ '사과', '귤', '배'.. 2023. 3. 8.
TIL 2023.03.07(온보딩 2일차) if 조건문 if( 불 값이 나오는 표현식){ 불 값이 참일 때 실행할 문장 } const a = Number(prompt('월을 입력해주세요.','')) if(1 = a){ alert('봄입니다') } if(4 = a){ alert('여름입니다') } if(7 = a){ alert('가을입니다') } if(10 = a){ alert('겨울입니다') } 위 코드는 월을 입력하여 몇월인지 alert 창으로 알려주는 코드이다. 1. 상수 a에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Number() 함수를 이용해 숫자 자료형으로 할당한다. 2. if 조건문과 연산자를 활용해 조건을 만들어주고 참일 경우 return 되는 alert 창을 만들어준다. switch 조건문 switch(자료){ case 조건 A : break ca.. 2023. 3. 7.
TIL 2023.03.07(온보딩 1일차) 표현식 값을 만들어내는 간단한 코드를 말한다. 문장 하나 이상의 표현식이 모여 구성되는 것으로, 코드를 읽어들이는 기본 단위이다. 키워드 프로그래밍 언어가 처음 만들어질 때 정해진 특별한 의미가 있는 단어이다.(식별자로 사용 불가능) 식별자 이름을 붙일 때 사용하는 단어이다. 주석 프로그램 코드를 설명하는 문장으로, 프로그램 진행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자료형 프로그램이 처리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자료(data)라고 부르며, 자료 형태에 따라 나눠 놓은 것을 자료형(data type)이라고 한다. 다양한 종류의 자료형이 있는데 가장 기본적이면서 많이 사용하는 자료형은 숫자(number), 문자(string), 불(boolean) 자료형이다. 안 녕 하 세 요 [0] [1] [2] [3] [4] 문.. 2023. 3. 7.
1일차 과제 연산자 피연산자 자료형 +(문자열 연결 연산자) 문자열 +(덧셈 연산자) 숫자 && 불 - 숫자 * 숫자 || 불 실행 결과 : # 연습문제 \\\\ 이유: \\\는 이스케이프 문자이므로 4개만 출력됨 실행 결과 : 녕 하 세 요 이유 : 인덱스는 0부터 카운트 됨 실행 결과 : 0 4 이유 : 연산자 우선 순위 숙지 const r r = 100 console.log(`넓이 = ${3.14 * r * r}`) const를 사용할 때는 생성할 때 값을 할당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위의 두줄을 const r = 100 으로 수정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const number = 10 console.log(++number) console.log(number++) console.log(++number) cons.. 2023. 3. 6.